VEGARAY_기계식 시계 엑스레이 이미지
스프링과 톱니로 작동하는 일본 S사의 기계식 손목시계를 베가레이 엑스레이로 촬영한 이미지입니다.
배터리 없이 손목과 팔의 움직임으로 시계를 작동시킨다고 하는데 엑스레이 이미지로 작은 톱니들을 확인할 수 있네요.
스프링과 톱니로 작동하는 일본 S사의 기계식 손목시계를 베가레이 엑스레이로 촬영한 이미지입니다.
배터리 없이 손목과 팔의 움직임으로 시계를 작동시킨다고 하는데 엑스레이 이미지로 작은 톱니들을 확인할 수 있네요.
알미늄 부품 용접부위를 베가레이 엑스레이로 촬영한 이미지입니다.
알미늄 부품은 밀도가 낮은 금속이라 엑스레이 투과로 내부 확인이 용이합니다.
용접 부위 불량 여부 역시 엑스레이로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베가레이 엑스레이로 촬영한 PCB 보드 내부구조입니다.
엑스레이 이미지를 보며 보드 회로 구조를 파악하고, 세부 부품의 결함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베가레이 엑스레이로 촬영한 IC 칩 내부구조입니다.
보드 외관만 보면 같은 칩인데 내부 구조는 다르게 생겼네요.
이런 식으로 겉으로 보기에는 같은 종류의 칩인데 그 안쪽 구조가 다르게 생긴 IC chip을 종종 보게됩니다.
비슷한 모양으로 같은 기능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작은 모조칩 하나가 비싼 PCB 보드를 아예 망칠 수도 있습니다.
엑스레이 촬영을 하면 이런 것들을 쉽게 찾아, 불량을 미리 예방할 수 있습니다.
코로나로 인해 힘들고 지쳤던 2021년이 저물어가고 있습니다.
2022년 새해에는 항상 건강하시고 원하시는 모든 일들이
순조롭게 잘 풀리기를 기원하겠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볼펜이 잘 안나와서 분해해보면 잉크가 분명 있는 거 같은데 이상하다 싶을 때가 있습니다.
자세히 들여다보면 잉크가 없어서 안나오는 건데 육안으로는 구분이 잘 안되거든요.
베가레이 엑스레이로 잘나오는 새 볼펜과 다 쓴 볼펜을 찍어봤는데 확실하게 구분이 되네요.
이미지에서 왼쪽에 위치한 볼펜심 내부가 채워진 쪽이 새 볼펜이고, 오른쪽 심 내부에 아무것도 없는 것이 다 쓴 볼펜이네요.
잉크가 심 내부 안쪽에 칠해져있어서 육안으로는 구분이 잘 안됐던 것 같습니다.
베가레이 엑스레이는 이렇게 육안으로 구분이 잘 안되는 문제나 불량의 원인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는 비파괴검사장비입니다.
매일 사용하는 휴대폰 충전기를 베가레이 엑스레이로 촬영한 이미지입니다.
먼저 배터리 용량이 커지면서 꼭 필요해진 급속 충전기의 엑스레이 이미지입니다.
출력이 9V x 2.77A = 25W짜리 충전기입니다. 휴즈, 저항 등의 부품 외에도 제어 회로가 꽤 복잡해 보입니다.
출력값, 특히 전류값이 높을 수록 제어하는데 높은 기술력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다음은 5V x 2A = 10W 짜리 일반적인 충전기의 내부 구조입니다.
비슷한 부품들도 보이지만 고속 충전기에 비해 회로 구조가 좀 더 단순해 보입니다.
같은 5V x 2A = 10W짜리 충전기인데 좀 더 오래된 구식 충전기의 엑스레이 이미지입니다.
들어가는 부품은 비슷해보이는데 크기는 2배 이상 되는 것 같습니다.
전자제품, 부품이 날이 갈수록 소형화, 고도화되고 있다는 게 휴대폰 충전기 엑스레이 이미지 비교를 통해 보니 한눈에 보이네요.
복잡한 제품일수록 불량을 미리 찾아내 대비하는 노력은 꼭 필요하고,
이럴 때 비파괴검사장비인 베가레이 엑스레이가 솔루션이 되어드리겠습니다.
벨트를 착용하는 것만으로 허리둘레, 걸음량, 낙상위험도 계산 등을 해준다는 스마트벨트의 엑스레이 촬영 이미지입니다.
다양한 측정을 위해 벨트 안쪽에 센서와 보드가 들어가 있을 것으로 짐작되는데 베가레이 엑스레이로 촬영해 그 안을 들여다보니 구조가 보이네요.
무선으로 작동해야 하니 배터리도 보입니다.
앞으로 이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더 다양하게 많이 나올 것 같습니다.
귀에 걸어서 착용하는 무선 이어폰을 베가레이 엑스레이로 촬영한 이미지입니다.
베가레이 엑스레이로 촬영한 견과류 봉지입니다.
흑백 이미지만 봐도 아몬드, 브라질넛, 피칸, 피스타치오 같은 다양한 종류들이 구분되어 보이네요.
베가레이는 보이지 않는 제품 안쪽을 보게 해주는 엑스레이 장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