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 News

베가레이 엑스레이로 온도센서 불량 검사하기

전자부품의 성능과 신뢰성은 제품의 품질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특히 온도센서는 다양한 산업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며, 불량이 발생할 경우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엑스레이(X-ray) 검사는 온도센서의 내부 결함을 비파괴 방식으로 분석하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소형 탁상형 검사장비인 베가레이 엑스레이를 활용해 검출할 수 있는 온도센서의 주요 불량 유형을 알아보겠습니다.

1. 내부 단선 및 회로 불량

온도센서는 일반적으로 서미스터(Thermistor), RTD(저항온도검출기), 또는 열전대(Thermocouple)로 구성됩니다. 이러한 센서 내부에서 전선이 단선되거나 회로 접속 불량이 발생하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베가레이 엑스레이 검사를 통해 내부 배선이 끊어졌는지, 솔더링(Soldering)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솔더링(Soldering) 불량

전자부품 조립 과정에서 솔더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요 불량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콜드 조인트(Cold Joint): 납땜이 불완전하여 전기적 접촉이 불안정한 상태
  • 브릿지(Bridge): 납땜이 과도하게 흘러 서로 다른 패드가 연결된 상태
  • 보이드(Void): 납땜 내부에 공극이 발생하여 열전달 및 전도성이 저하된 상태

베가레이 엑스레이 검사를 통해 솔더링의 상태를 정밀하게 분석하고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3. 내부 이물질 및 오염

제조 공정 중 먼지, 금속 조각, 플럭스 잔여물 등이 내부에 유입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물질은 센서의 신호 왜곡이나 회로 단락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베가레이 엑스레이 검사는 비파괴 방식으로 내부를 투과하여 이물질의 존재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패키징 결함

온도센서는 환경 변화에 민감하기 때문에 패키징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주요 불량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 크랙(Crack): 패키징 재료에 균열이 발생하여 내부 부품이 손상될 위험이 있음
  • 델라미네이션(Delamination): 층간 분리가 발생하여 센서의 신뢰성이 저하됨
  • 밀폐 불량: 방습 및 방수 처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센서 내부로 습기가 침투하는 경우

베가레이 엑스레이를 이용하면 센서 내부의 크랙, 층간 분리 등을 확인할 수 있어 조기 불량 감지가 가능합니다.

 

5. BGA 및 SMD 부품의 불량

온도센서는 PCB(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는 경우가 많으며, BGA(Ball Grid Array) 및 SMD(Surface-Mount Device) 방식의 패키징이 사용됩니다. BGA와 SMD 부품은 외부에서 납땜 상태를 직접 확인하기 어려워 엑스레이 검사가 필수적입니다. 주요 불량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솔더볼 크랙: 납땜된 볼이 균열되거나 손상된 상태
  • 접합 불량: 납땜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연결이 약한 상태
  • 솔더볼 미스얼라인먼트: BGA 솔더볼이 정렬되지 않아 신호 전달이 불량한 상태

베가레이 엑스레이 검사를 통해 BGA 및 SMD 부품의 불량도 신속하게 진단하고 품질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결론

베가레이 엑스레이 검사는 온도센서의 불량을 비파괴 방식으로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내부 단선, 솔더링 불량, 이물질 혼입, 패키징 결함, BGA 및 SMD 부품의 문제 등을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어 전자부품의 품질 관리를 향상시킵니다. 고품질의 온도센서를 생산하고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엑스레이 검사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베가레이 엑스레이는 세계 최소형의 엑스레이 검사장비로 가로 폭이 32cm에 불과해 아무리 좁은 공간이라도 문제없이 설치할 수 있고, 이동 또한 편리합니다.